소는 위가 4개가 있다. 우리가 쉽게 즐겨 먹는 곱창 막창 대창 양이 소의 어느 부위에서 나오고 각 부위별로 맛과 생김새 특성 및 가격에 대해 알아보려도 한다.
소의 첫 번째 위라고 할 수 있는 앞의 위가 양이다. 메뉴판에서 볼 수 있는 양곱창 양대창 이 여기서 나온다. 두 번째 위도 양이라 불리고 생김새가 꼭 돼지껍질 벌집 모양낸 거처럼 생겼고 벌양으로 불린다. 구이로 먹는 것보다는 해장국에 검은색으로 벌집 모양으로 생긴 것이 이 부분에 해당한다. 세 번째 위는 간하고 천엽이나. 싱싱하게 먹어야 하는 부위로 곱창집에 가면 날것으로 기름장에 먹게끔 나오는 부위이다. 네 번째 위가 막창이다.
소의 작은창자를 소곱창이라 생김새 또한 꼬불꼬불하게 되어있다. 그 뒤에 있는 소의 가장 큰창자인 대장은 대창이라고 불리고 양대창과 같이 보통 먹고 생김새는 손질해서 나오는 것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뿌리도 소곱창 참 좋아하는데 가끔씩 여럿이서 가다 보면 모둠으로 먹는 경우도 생기고 골고루 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곱창 말고는 소의 부위 별 이름과 맛을 구별하기가 쉽지가 않다. 특히 대창이 이슈화 된 이후로 더욱 피하려고 한다.
소의 기름은 콜레스테롤이 많기 때문에 일반 육류들과 다르게 먹지 않는데, 소의 지방을 가지고 있는 내장 부위가 있었는데 우리는 그것을 모르고 먹고 있었다. 바로 대창이다. 대창의 기름을 뒤집어서 안으로 그냥 쏙 넣어서 판매가 됐던 것이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소고기가 제일 낮은데 그 내장 중에 대창이 그 어떤 육류보다 높았다는 것은 정말 충격적이다.
소곱창의 경우에는 전골로도 먹고 구이로도 먹는데, 안에 잇는 곱이 많을수록 곱창의 품질이 좋다고 평가할 수 있다.
논란이 되었던 대창 때문에 포스팅을 하게 되었는데, 대창과 막창이 항상 구워진 생김새가 비슷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손질을 어떻게 해서 나오냐의 차이기 때문이다. 똥그랗게 생긴 경우는 소 대창과 돼지 막창이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은데, 돼지 막창의 경우에는 납작하게 기름기를 빼서 동그란 미니도넛 모양인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소 대창은 통통하게 안에 지방이 그대로 있는 느낌으로 구워진다.
소의 지방 특유의 기름기와 지방으로 고소함을 느낄 수 있는 매력이 있지만, 건강을 생각한다면 콜레스테롤이 높은 대창은 피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물론 지방을 재고하고 안으로 말아서 굽는다고 하지만 결국에 지방이 안에 있다고 생각하니,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생각이 된다. 좀 더 고소함은 있을 수 있겠지만 곱창의 고소함은 뿌리는 선호하는 편입니다.
'여행, 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께 먹으면 좋은음식과 같이 먹으면 상극인 음식궁합 알아보기 (0) | 2021.08.06 |
---|---|
제주도 항공권 모바일 체크인 비행기 출발 24시간 전부터 가능 (0) | 2021.07.30 |
차박 평탄화하고 노지캠핑장에서 내방처럼 차크닉 하는법 (0) | 2021.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