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은 반군 테러단체입니다. 탈레반의 뜻은 이슬람 학교의 학생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탈레반은 1990년도부터 활동했고, 2002년 미국이 공격하기 전까지 정권을 장악하며 아프간을 통치해왔습니다. 미국이 철수 후 아프가니스탄의 행보가 걱정됩니다.
미국은 1993년에 미국을 공격한 오사마 빈 라덴이 탈레반 보호를 받으며 아프가니스탄에 숨어있다고 생각했고 2001년에 미구의 지역들에서 테러가 일어나자 오사마 빈 라덴을 검거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미국의 군사력에 탈레반은 아무 힘도 쓰지 못했고 현재까지 미국은 아프간을 통치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5월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을 철수하면서 아프가니스탄의 정부가 무너지고 탈레반이 다시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게 되었다. 미국이 철수하자마자 수도 카블은 탈레반에게 점령당했고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으로 나라를 버리고 도망가고 국민들은 공항에 몰려 빠져나가려 하고 있다.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을 철수한 이유는 재정적인 문제 때문이었다. 아프가니스탄에 미국이 철수함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의 정권의 혼란이 있고 탈레반 조직의 쿠데타가 있을 수 있어 국민들의 위험이 우려되지만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가장 피해를 입을 나라는 중국이다. 아프가니스탄의 지형상 실크로드의 주요 루트인 지역이 중국의 지역과 붙어있어 과거에 중국 정부가 이슬람 종교에 탄압의 사건들을 보아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세력들이 반란을 일으킬 것은 분명하다. 이 지역의 지하자원을 포기할 수 없을 중국이 탈레반을 상대로 협상을 어떻게 할지는 지켜보아야 할 문제이다.
아프가니스탄을 처음부터 미국이 강압식으로 민주주의를 만드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사실상 아프가니스탄에는 혼합 소수민족이 많고 종교적 문제가 있는 국가이기 때문에 국가 내부적인 문제 해결이 사실은 더 시급했다. 탈레반을 단순 반군 조직으로 보아야 할지 아프가니스탄을 이끌어갈 정권으로 보아야 할지는 앞으로 탈레반의 행보를 보아야 알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서방국가의 대사관들은 철수 중이고 한국대사관 인원과 교민들 또한 모두 아프간을 떠났다. 사실상 세계가 도와주지 않는다면 아프가니스탄은 탈레반에게 넘어갔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이 집권하는 동안 스스로 민주주의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철수하자마자 탈레반이 장악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탈레반이 극단적 종교적 신념을 갖고 여성과 소수자 인권을 억압하고, 테러를 하고 마약거래를 하고 아프가니스탄 국민들을 학대했는데, 이 사람들이 과연 아프가니스탄을 정상적으로 집행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됩니다. 현재 대통령궁은 점령되었고 도교 올림픽에 출전 예정이었던 패럴림픽 대표팀도 출전할 수 없게 되었고 물가는 폭등했고 국제공항은 폐쇄된 상태이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19극복을 위한 5차 재난지원금 추석전에 개인당 25만원씩 모두 지급 대상된다. (0) | 2021.08.26 |
---|---|
삼성전자 52년만에 무노조에서 노동조합 단체협약, 이재용 부회장 13일 가석방 후 바로 서초동 사옥으로 발길 (0) | 2021.08.13 |
직장인 퇴직금 계산 하는 방법 (0) | 2021.08.12 |
전주 서신동 감나무골 재개발정비사업 관리처분 계획인가 확정 (0) | 2021.08.03 |
100분 토론- 여성가족부 폐지론 가능한 일 인가요? (0) | 2021.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