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aa379b0f2ef7d9ae.html 직장인 퇴직금 계산 하는 방법
본문 바로가기
시사

직장인 퇴직금 계산 하는 방법

by 쁘리v 2021. 8. 12.

근로기준법상 1년 이상 근무자에게 퇴직금이 발생된다. 쉽게 생각하면 1년 근로한 연수에 대해 약 한 달 임금을 퇴직급을 지급하도록 최저기준을 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3년 일했으면 3개월 급여가 퇴직급여라고 쉽게 생각해도 좋다.

 

퇴직금 산정은 각 기업마다 퇴직금 규정에 맞게 계산이 되어 지급된다. 딱히 규정이 없으면 근로기준법에 따른다. 1인 이상 사업장 아세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하고 퇴직 후에도 재 취업 전까지 경제적 안정을 주기 위한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1년 근무자가 한 달 급여가 퇴직금이라고 알고 있지만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할 때는 말이 달라진다. 평균임금에 각 수당들이 있기 때문이다. 기본급 연차수당 상여 중식대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제외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다시 정리하여보면, 퇴사 전 3개월간의 임금, 1년간 지급된 상여의 3개월분 금액 사용하지 못한 연차수당의 3개월분을 다 더해서 3개월간의 일수를 나눈 값이 평균임금이 된다. 이 평균임금을 가지고 근로연수를 나누면 얼추 계산이 될 것이다. 네이버에서 쉽게 퇴직금 계산방법이 나오지만 그래도 어떻게 이 계산이 나오는지 정도는 인지하고 있으면 좋을 것이다. 또한 퇴직금의 지급기한은 퇴사 후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이것을 어기게 되면 가산 세과 적용이 됩니다. 가산세는 20%가 있습니다. 퇴사 후 회사의 불합리하게 입장이 나올 수 있으니 본인이 퇴사 전 준비할 게 있다면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1년 이상 근무하며 주 15시간 이상 경우에 도 퇴직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 아르바이트도 근로기간에 충족만 한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간에 퇴직금을 중간 정산받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간정산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있는데 근로자가 6개월 이상 질병으로 병가 사용 경우 개인회생절차로 인새 파산 경우 임금피크제 도입하는 경우 무주택자 전세금이 필요한 경우 보통 전세금 필요로 중간정산을 받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주의하셔야 할 점은 중간정산을 받았다면 근로연수는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게 되어 근무일수가 줄기 때문에 퇴사할 때 다시 정산되어 받게 되는 금액은 줄어들게 됩니다.

 

회사가 퇴직연금을 가입한 경우에 라면 안전하게 본인의 퇴직금을 찾을 수 있지만 그게 아니라 퇴직금을 퇴사 경우 일시에 지급해야 하는 회사를 다니는 경우에는 말이 다를 수 있습니다. 금융권에 본인의 근로연수만큼 적립을 해놓은 퇴직연금이 아니라면 직접 계산하여 맞게 수령됐는지 정도는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팁으로는 퇴사 직전 3개월의 평균임금을 가지고 계산하기 때문에 월급이 인상되는 연초에 퇴사를 하게 되면 퇴직금이 조금이라도 인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퇴직금 계산방법 간단하게 다시 정리하고 마치겠습니다.

퇴직금 = 퇴사 전 3개월 월급 평규 X (총 근무일수/ 365일)

월급 평균 = (3개월 임금 + 상여금 + 연차수당) / 90일

댓글